오늘은 베이비몬스터에 『돋보이는 센터 미모』 의 아현 님 명식을 살펴보겠습니다.
1. 을해(乙亥)
을해(乙亥)는 정인(正印)에 사(死) 입니다.
전쟁이 나도 혼자 살아남는다는 을해입니다.
그 만큼 재수가 좋은 간지에 해당합니다.
을해는 기본적으로 감각이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고상한 취향과 마음씨를 가졌습니다.
폭은 좁지만 하나를 선택하면 몰두하는 경향이 장점이자 약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야가 넓지 못합니다.
또한 을해는 타인에 대한 의존성이 강하고 투쟁성이 약해 싸워서 얻어내기보다 지레 포기하고 맙니다.
2. 연간
연간의 화는 여름, 낮, 남쪽, 붉은색, 숫자 2와 7, 예, 심장과 소장, 열정, 자신감, 다혈질을 나타냅니다.
화(火) 식신(食神)은 행동전환이 빠르고 수행주도능력이 탁월합니다.
독립적, 전문적 영역에서 발휘됩니다.
목소리가 크고 말이 앞서며 화통하지만 현실감각이 결여되기도 합니다.
식신이 연주에 위치하면 공망되지 않을 경우 유복한 환경에서 태어나고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신이 정인(正印)과 동행하면 부모로부터의 은덕은 많지 않고 자수성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연지
연지의 수는 겨울, 밤, 북쪽, 검정색, 숫자 1과 6, 지, 신장, 방광, 지혜, 욕망, 본능, 망상을 나타냅니다.
오행 수와 십신이 정인(正印)이면 측은지심이 깊고 언제나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으며
숫기가 부족하여 새로운 환경의 적응이 늦고 고지식한 경우가 있습니다.
정인이 연주에 위치하고 연주에만 정인이 있으면 명문가 출신일 확률이 높습니다.
정인과 십이운성 사(死)가 동행하면 자주 변경이 일어나긴 하지만, 결국에는 안정을 얻게 됩니다.
인색한 경향이 강해질 수 있으니 경계하여야 합니다.
4. 월간
월간의 목은 봄, 아침, 동쪽, 청색, 숫자 3과 8, 인, 간과 쓸개, 뼈, 성장, 의지, 명예, 오만을 나타냅니다.
목 겁재(劫財)는 일보다는 인간을 중시하고 포용력과 자유주의적 기질이 있습니다.
희망 및 동기 부여 능력은 뛰어나지만 현실성이 부족하거나 실속 박약인 경우도 있습니다.
겁재가 월주에 임하면 자수성가의 힘이 강합니다.
겁재와 관대(冠帶)가 동행하면 비범한 재능을 가집니다. 대신 성공과 실패는 극단적이기도 합니다.
5. 월지
월지는 토는 환절기, 사이, 중앙, 노란색, 숫자 5와 10, 신, 지라와 위, 중용, 끈기, 고집을 나타냅니다.
토 정재(正財)는 책임감이 강하고 타인으로 부터 인기가 많습니다.
체면에 집착하고 한 번 믿은 것을 의심하지 않습니다.
정재가 월주에 임하면 특히 신용이 높습니다.
대신 인색함이 강해져서 경원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여야 합니다.
정재가 관대와 동행하면 명문가에서 성장하는 호강의 팔자입니다
6. 일간
일간에 음목인 을목(乙)을 살펴보겠습니다.
음목인 을목(乙)은 십신상으로 정재(正財)의 특성을 보입니다.
을목은 갑목(甲)과 달리 옆으로 성장하는 넝쿨 같은 나무입니다.
을목도 리더십은 있지만 갑목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는 리더십으로 갑목이 놓치는 섬세함과 부드러움이 있습니다.
또 을목은 독자적이기보다 의존적으로 생존한다는 특징이 있는데, 그 의존 대상보다 더 오래 살아남습니다.
그래서 을목은 갑목을 반깁니다.
원래 갑목과 갑목이 만나면 경쟁심이 발동하기 때문에 서로 견제를 하지만 을목은 갑목에게 경쟁심을 가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갑목을 자신이 타고 올라가야 하는 성장 기반의 대상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갑목은 그런 을목에게 위협을 느끼지 않습니다.
갑목 입장에서 다른 갑목은 위협적인데 을목에 대해서는 ‘그까짓 거 그래봐야 넝쿨’ 이라며 약간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갑목은 그렇게 방심하다가는 을목의 반격에 큰 코 다치게 됩니다.
을목은 일단 자기를 낮추는 겸손함 있습니다.
하지만 겸손이 지나치면 위선으로 비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갑목에게 ‘맨 날 우는 소리를 하면서 실속은 제가 다 챙긴다’고 비난을 받기도 하니 을목으로서는 억울할 따름입니다.
‘기껏 배려하고 나를 낮추었더니 돌아오는 것은 비난밖에 없구나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을목은 넝굴로 자라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상황 판단이 빠른데 때로 지나치게 타산적인 것이 문제입니다.
확실하고 치밀하게 자기 것을 챙길 줄 아는 을목에 비해, 갑목은 위로 올라가는 데만 신경을 써서 상황 파악이 안됩니다.
또한 갑목은 자신과 기운이 잘 맞지 않으면 불편해하고 그게 겉으로 드러나는 반면, 을목은 적응력이 뛰어나서 담쟁이 넝쿨처럼 주변 환경, 상황에 적응해 자기 방식대로 헤쳐 나갑니다.
갑목과 달리 순간적 판단력이 빠르고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도 뛰어납니다.
을목은 좀처럼 위기에 빠지지 않지만 갑목은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매우 커서 갑작스러운 사고, 구설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처세술이나 상황 적응력이 뛰어나 분쟁 상황에서 자기 이익을 위해 중재하는 능력도 갖췄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위한 일이지만 결국 자신의 이익을 챙기는, 정치적 조정 능력 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을목은 결정적인 순간에 판단력이 현저히 저하됩니다.
갑목은 머뭇거려서 손해를 보고 을목은 잘못 판단해서 손해를 봅니다.
을목은 속을 알기 어려운데 실제로 을목은 자신을 잘 은폐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이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겠다는 것까지도 좋은데, 더 큰 문제는 울목이 수평적 존재이기 때문에 감정이 과잉될 때 위로 발산되지도 옆으로 빠져나가지도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응축된 음의 기운이기 때문에 감정 기복이 심합니다.
멀쩡하다가 갑자기 불안정한 감정 상태를 보여주는데, 이는 자기 억압에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한번 이러고 나면 다시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지만 그 주기가 짧아지고 횟수가 늘다 보면 결국 을목의 사회성이 무너집니다.
따라서 목은 스트레스를 쌓아두지 말고 그때 그때 풀어야 합니다.
갑목은 지나치게 설득하려 해서 문제지만, 울목은 너무 그럴 수 있지. 그럴 수 있다고 봐’ 하다가 더 스트레스를 받아 나중에는 자신이 무너집니다.
7. 일지
일지의 해수(亥)는 십이지신상으로 돼지입니다.
자수만큼 총명하지는 않지만 온순하고 우직한 느낌입니다.
베풀기 좋아하나 사실은 소한 면도 있고 속으로 사람을 많이 가립니다.
해수는 음수임에도 지장간의 무토(戊)와 갑목(甲) 그리고 임수(壬) 같은 양기의 성분을 이루어져 양으로 해석됩니다.
해수가 목의 생지 인것은 가을이 끝나고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에 결실은 이미 정리가 되었고 새로운 탄생을 위해 동면으로 들어가는 기운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무토와 갑목 같은 다양한 요소들이 섞인 탁한 물로도 비유할 수 있는데 깨끗하기만 해서 아무 성분이 없는 물보다는 이런 물들이 갑목에게 생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8. 신살
(1) 화개(華蓋)
화개는 기본적으로 종교, 수도의 힘이고 고독입니다. 문장력과 창의성이 있으며 문창귀인의 화려하고 밝고 재기있는 문장과 달리 화개의 문장은 어둡고 깊이 있으면서 강한 카리스마를 풍깁니다.
화개의 또 다른 특징은 참모나 비서 같은 2인자의 자리에 있을 때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는 것입니다.
(2) 귀문관(鬼門關)
명리학 고전들을 보면 진해(辰亥), 오축(午丑), 사설(巳戌), 묘신(卯申), 인미(寅未), 자유(子酉), 6개의 조합이 귀문관이라는 입장은 동일한데 위치에 대한 기준은 제각각입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나란히 붙어 있을 때만 귀문관으로 인정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일지가 진(辰) 일 때는 나란히 붙어 있는 해(亥)가 귀문관이 되고, 해가 일지면 진이 귀문관이 됩니다.
일주를 기준으로 나란히 붙어 있으려 면 월-일, 일-시에서만 귀문관이 성립됩니다.
귀문관은 사람의 마음을 읽는 통찰력이 있으며, 영특한 두뇌와 특수한 분야의 재능을 말합니다.
추상적, 명상적, 종교적 화두에 관심이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데, 일-월주 귀문관이 있거나 인미, 묘신과 같이 강한 힘을 가지는 경우 심각한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또 진해 귀문관은 가장 강한 원진의 기운이기도 하기 때문에 사회적 관계의 고립, 파괴 등을 조심해야 합니다.
용희신 귀문관이 문창과 동반되면 예술적 감수성이 탁월하게 발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귀문관이 기구신에 해당하면 십신에 따라 부작용이 발생하는데, 비겁(比劫)-귀문관은 형제, 동료와 불화, 식상(食傷)-귀문관은 욕구불만, 욕설 과다, 재성(財星)-귀문관은 아내와의 불화 혹은 재물 손괴, 인성(印星)-귀문관은 문서 계약으로 인한 사고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성이 기구신인 신약한 원국에서 귀문관이 관성의 자리에 위치 하면 부정성이 강하게 작용하는데, 조직 내에서 불이익을 당하거나 여자의 경우 남편과의 불화와 타인에 의한 불상사를 겪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귀문관이 신살 중 화개와 동주하면 병명을 알 수 없는 건강상의 문제가 지속될 수 있으며 영적인 신기 또는 종교적 신심이 강합니다.
어느 누구도 훼손하지 않은 아현 님의 미래를 응원합니다~